◆ 냉동기의 종류
1. 메인타입 일체형 냉동기- 현재 주로 1.0톤과 1.2톤에 사용되고 있는 냉동기로써,
솔(sol) 밸브로 이용하여 냉기가 에어콘과 냉동탑으로
패스(by-pass)되는 냉동기를 말합니다.
2. 독립분리형 메인냉동기 - 현재 주로 2.0톤 이상의 중.대형 차량에 사용하는 방식으
로 차량용 에어콘과 별도로 장착하여 소음이 없고 수명도
길며,냉동효과에 있어서도 우수성이 인정되고 있습니다.
3. 서브타입 냉동기 - 서브 타입(sub-type)의 냉동기을 장착한 냉동기는 체적이 넓은
공간에 냉동효율을 증대시키기위해 주로 사용되는 냉동기로서,
냉동기의 주요부품인 콤퓨레샤의 구동력을 별도의 엔진을 탑
상단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대형차량에 사용되나, 무거우면서도
소음이 많이 나는 것이 단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.
1. 메인타입 일체형 냉동기- 현재 주로 1.0톤과 1.2톤에 사용되고 있는 냉동기로써,
솔(sol) 밸브로 이용하여 냉기가 에어콘과 냉동탑으로
패스(by-pass)되는 냉동기를 말합니다.
2. 독립분리형 메인냉동기 - 현재 주로 2.0톤 이상의 중.대형 차량에 사용하는 방식으
로 차량용 에어콘과 별도로 장착하여 소음이 없고 수명도
길며,냉동효과에 있어서도 우수성이 인정되고 있습니다.
3. 서브타입 냉동기 - 서브 타입(sub-type)의 냉동기을 장착한 냉동기는 체적이 넓은
공간에 냉동효율을 증대시키기위해 주로 사용되는 냉동기로서,
냉동기의 주요부품인 콤퓨레샤의 구동력을 별도의 엔진을 탑
상단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대형차량에 사용되나, 무거우면서도
소음이 많이 나는 것이 단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.
★ 메인 냉동기와 서브냉동기의 차이★
◎ 냉동기란?
● 냉동기란 화물을 얼리는장치가 아니라, 화물의 냉동상태를 유지해주는 장치
입니다.
◎ 메인냉동기
● 차량의 엔진에 장착되어있는, 콤프레셔를 이용하여, 냉동기를 가동하는 냉동기
● 냉동온도는 많이 떨어지는 편은아니나, 생선이나 고기류등, 일정온도만 유지시켜야
하는제품을 적재하는 차량이나, 소형화물차들이 주로 장착하여 사용합니다.
● 소형 화물차들이 주로장착하는 이유는, 탑이 작기때문에 메인냉동기로도 충분한
효과를 볼수가 있기때문입니다.
◎ 써브냉동기
● 써브냉동기의 종류 : 화성, 일진, 써모킹, 캐리어 등이 대표적으로 많이 쓰임.
● 써브의 특징은 엔진과 콤프레셔가 별도로 달려있고, 연료는 경유를 사용하며,
냉동기 자체의 엔진을 가동함으로서, 탑 내부적재물을 냉동상태로 유지하는
냉동기 입니다.
● 가격대: 850~2,000만원이 넘는것까지 다양합니다.
● 냉동탑도 화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합니다.
◎ 바닥 : 스텐과 알루미늄으로 나뉨.
●스텐바닥 :
장점- 바닥이 미끄러워 하차 작업이 쉽다.
단점- 바닥이 약해서, 무거운 물건을 바닥에 던지면 바닥이 일어남.
바닥골이 얕아서 냉기가 적게 돈다.
●알루미늄바닥 :
장점-바닥이 튼튼하며, 바닥골이 깊어 냉기가 많이 돈다.
단점-바닥이 매끄럽지안으므로 하차시 끌어내기가 힘들다
●조르다바닥 :
이것은 위에 두종류 바닥에 모두 적용가능한 옵션입니다.
파렛트 작업을 하는 차량에 쓰이며, 별도의 장비(파렛트를 들어올려,
차량의 뒤에까지 끌어내는 스케이트)가 필요합니다.
●쫄대가 옆으로 누워있는것과 위로 세워져있는 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.
▷ 누워있는것 : 신형탑의 방식...파렛트작업을 하는 차량에 쓰입니다.
▷ 세워있는것 : 구형탑의 방식...
●도축장에서 육류를 운송하는 차량은, 탑내부 위에 긴 파이프 같은것이, 차량의
뒤까지 설치됩니다. 이것은 도축한 고기를 갈고리에 걸어서, 하차를 쉽게하기
위한 설치물입니다.
●간혹 탑안에 벽과 벽사이에 자동바를, 쓸수있도록 쫄대를 설치하기도 합니다.
이것은 화물의흔들림, 뒤로 넘어지는것을 방지하기위해 설치하는것입니다